구축환경

Ubuntu 18.04

python 3.7

 

# python3.x 버전이면 pip3 사용 / 2.x 버전이면 pip
$ pip3 install virtualenv


# 가상환경 이름 = pyvenv3.7,	버전 = 3.7
$ virtualenv pyvenv3.7 --python=python3.7


# 가상환경 실행
$ . pyvenv3.7/bin/activate


# 가상환경은 수동으로 종료할 때까지 돌아가기 때문에 필수로 종료해야 함
(pyvenv3.7)$ deactivate

 

 

참고


https://subinium.github.io/virtualenv/

 

vitualenv를 써봅시다

virtualenv 조금은 알고 쓰자!

subinium.github.io

 

ssh로 서버에 붙어서 작업할 때면, 거의 3초만 terminal을 건들지 않아도 보안상의 이유로 연결이 끊겨버리는 문제가 있어서 계속 계정에 새로 로그인해야 했다 ㅠㅠ

 

이것의 해결 방법은 접속 시간을 늘리는 것으로, 사용자가 작동이 없을 때 얼마나 대기할 것인지 세팅하는 방법이다.

 

$ cat /etc/ssh/sshd_config

 

파일이 잘 있나 먼저 확인 후 vi로 clientaliveinterval과 clientalivecountmax를 수정

 

$ vi /etc/ssh/sshd_config

 

대기시간 설정방법은 interval 간격이고, countmax가 횟수로 interval * countmax 초 만큼 대기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5분 설정

 

설정을 완료 했으면 적용을 해주어야하기 때문에 아래 명령어 입력

 

$ service sshd restart

 

성공!

 

 

참고


https://blog.acronym.co.kr/480

 

SSH 세션을 계속 유지하기 위한 설정

SSH를 사용하다보면 접속이 끊겨서 다시 연결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보안상의 이유로 계속 사용하지 않으면 접속 종료하기 때문이다. 개발 중 잠시 자리를 비우고 돌아왔을 때, SSH가 종료

blog.acronym.co.kr

 

Java 설치


$ sudo dnf install java-11-openjdk wget vim

 

 

Kafka 다운로드


$ wget http://www-us.apache.org/dist/kafka/2.4.0/kafka_2.13-2.4.0.tgz
$ tar xzf kafka_2.13-2.4.0.tgz
$ mv kafka_2.13-2.4.0 /usr/local/kafka

//root 아닐 경우에는 sudo mv kafka_2.13-2.4.0 /usr/local/kafka

 

 

Unit file Setting


Zookeeper

$ vim /etc/systemd/system/zookeeper.service

 

[Unit]
Description=Apache Zookeeper server
Documentation=http://zookeeper.apache.org
Requires=network.target remote-fs.target
After=network.target remote-fs.target

[Service]
Type=simple
ExecStart=/usr/local/kafka/bin/zookeeper-server-start.sh /usr/local/kafka/config/zookeeper.properties
ExecStop=/usr/local/kafka/bin/zookeeper-server-stop.sh
Restart=on-abnormal

[Install]
WantedBy=multi-user.target

 

 

Kafka

$ vim /etc/systemd/system/kafka.service

 

[Unit]
Description=Apache Kafka Server
Documentation=http://kafka.apache.org/documentation.html
Requires=zookeeper.service

[Service]
Type=simple
Environment="JAVA_HOME=/usr/lib/jvm/jre-11-openjdk"
ExecStart=/usr/local/kafka/bin/kafka-server-start.sh /usr/local/kafka/config/server.properties
ExecStop=/usr/local/kafka/bin/kafka-server-stop.sh

[Install]
WantedBy=multi-user.target

 

$ systemctl daemon-reload	//마무리

 

 

Kafka 실행


$ sudo systemctl start zookeeper	//zookeeper 시작
$ sudo systemctl start kafka		//kafka 시작
$ sudo systemctl status kafka		//kafka active 확인

 

오류발생

 

zookeeper 실행 안되는 현상으로 kafka까지 active fail

 

 

아래 명령어로 프로세스 조회

$ journalctl -xe

 

복제할 VM의 정보 체크


$ ifconfig
$ ip addr

주소 확인 

 

$ cat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본인이 확인한 주소>

맞는지 체크 (GATEWAY, DNS1, IPADDR 없다면 추가해야함!)

 

 

VM 복제


원본 VM에 우클릭으로 복제 선택 MAC주소 다르게 하는거 체크, 완전한 복제 선택

$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본인이 확인한 주소>

 

ip address 원본 주소와 다르게 수정

 

 

참고


https://www.lesstif.com/system-admin/centos-network-centos-static-ip-13631535.html

 

CentOS 최소 설치후 수동으로 Network 설정(CentOS static ip 설정)

IP 는 192.168.152.231, GateWay=192.168.152.2, DNS=192.168.152.2, MAC=00:21:5e:30:10:9e 로 가정한다

www.lesstif.com

 

centOS8-minimal.iso download


http://mirror.kakao.com/centos/8.2.2004/isos/x86_64/

 

CentOS Mirror

 

mirror.kakao.com

위의 mirror 홈페이지에서 minimal.iso 다운로드

 

 

VirtualBox에 VM 생성


  1. 새로 생성하기
  2. centOS8-minimal.iso 파일 삽입
  3. 부팅 순서에서 플로피, cd 체크박스 해제
  4. 메모리 2048
  5. 디스크 60GB
  6. 시작
  7. vm 생성 완료

 

VM에 centOS8 설치


  1. centOS8 화면 뜨면 enter
  2. 설치 언어 한국어로 설정
  3. network설정에서 이더넷 켬으로 변경
  4. 설치 계속
  5. 성공

 

 

ubuntu에서 ssh로 연결


  1. 원격 접속하려는 VM 실행
  2. 네트워크 설정
    1. 참고란의 3번째 주소 참고
    2. ip주소 인터넷 연결되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 -" ping <ip address> "
  3. ssh root@<ip address>
  4. 성공 (VM 종료시 연결 끊김)

 

 

나의 맥북에서 vm 접속하기


  1. ssh로 서버 접속
  2. 접속한 서버에서 ssh@<vm ip address> -p 포트번호
  3. 연결 성공

즉, 현재 맥북에서 Ubuntu 접속 -> Ubuntu의 가상머신 centOS8 접속 완료

 

 

 

참고


http://blog.naver.com/anysecure3/221664601297

 

[리눅스/CentOS] CentOS 8 설치 방법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닷홈입니다.​오늘은 2019년 9월 24일에 릴리스된 CentOS 8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

blog.naver.com

https://linuxconfig.org/rhel-8-configure-static-ip-address

 

How to configure a static IP address on RHEL 8 / CentOS 8 Linux - LinuxConfig.org

Details Egidio Docile 12 June 2019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we may want to set a static IP for a network interface. In RHEL 8 / CentOS 8, the network connections are managed by the NetworkManager daemon, so in this tutorial we see how we can perform s

linuxconfig.org

https://www.lesstif.com/system-admin/centos-network-centos-static-ip-13631535.html

 

CentOS 최소 설치후 수동으로 Network 설정(CentOS static ip 설정)

IP 는 192.168.152.231, GateWay=192.168.152.2, DNS=192.168.152.2, MAC=00:21:5e:30:10:9e 로 가정한다

www.lesstif.com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estlavie_01&logNo=40208819768&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vmware에 올린 centos를 외부 ssh로 접속하자.

1. centos openssh-server 설치 2. ssh daemon 실행 3. setup 에서 자동 실행 데몬으로 설정 space bar로 o...

blog.naver.com

http://parkjuwan.dothome.co.kr/wordpress/2017/07/08/virtualbox-linux-ssh/

 

VirtualBox 리눅스 서버 SSH로 연결하기 – PJW48

이 포스트에서는 버추얼박스(VirtualBox)로 구현한 가상 리눅스 서버를 SSH로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합니다. 참고로 이 기능을 사용하려면 OpenSSH가 필요하기 때문에 리눅스 서버 설치 과정에�

parkjuwan.dothome.co.kr

 

uninstall


~ sudo apt-get remove --purge virtualbox
~ sudo rm ~/"VirtualBox VMs" -Rf
~ sudo rm ~/.config/VirtualBox/ -Rf

 

reinstall


~ sudo apt-get install virtualbox
~ sudo ps aux | grep -i "vbox"
~ sudo pkill VBox*

 

Virtual Box install


 

설치 전 패키지 업데이트

~ sudo apt update	//upgrade 명령어 전에 해야함
~ sudo apt upgrade

 

virtualbox 설치

~ sudo apt install virtualbox

 

 

 

create VM


 

VM  생성

~ /usr/bin/VBoxManage createvm --name test1 --register

 

 

가상 디스크 생성 (4GB)

~ /usr/bin/VBoxManage createhd --filename test1.vdi --size 4000 --variant Fixed

 

 

가상 디스크와 CD/DVD 드라이브 추가 (name = IDE Contoller)

~ /usr/bin/VBoxManage storagectl test1 --name "IDE Controller" --add ide --controller PIIX4

 

 

디스크, CD/DVD VM에 추가

~ /usr/bin/VBoxManage storageattach test1 --storagectl "IDE Controller" --port 0 --device 0 --type hdd --medium test1.vdi

 

 

 

중간에 testkafka 새로 생성, IDE Controller2로 진행

 

 

네트워크 설정

$ VBoxManage hostonlyif create
// 결과 Interface 'vboxnet0' was successfully created

$ /usr/bin/VBoxManage modifyvm testkafka --nic1 bridged --cableconnected1 on --bridgeadapter1 vboxnet0

 

에러

VBoxManage: error: Nonexistent host networking interface, name 'eth0' (VERR_INTERNAL_ERROR)
VBoxManage: error: Details: code NS_ERROR_FAILURE (0x80004005), component ConsoleWrap, interface IConsole

 

-> 네트워크 생성으로 해결

 

 

실행

$ /usr/bin/VBoxManage startvm testkafka --type headless

 

 

에러

$ /usr/bin/VBoxManage startvm testkafka


Waiting for VM "testkafka" to power on...
VBoxManage: error: The virtual machine 'testkafka' has terminated unexpectedly during startup with exit code 1 (0x1)
VBoxManage: error: Details: code NS_ERROR_FAILURE (0x80004005), component MachineWrap, interface IMachine

 

-> 명령어 뒤에 --type headless 

 

실행성공

 

 

실행종료

$ /usr/bin/VBoxManage controlvm <uuid|vmname> pause|resume|reset|poweroff|savestate|

 

 

 

VirtualBox uninstall & reinstall


2020/07/27 - [노트] - VirtualBox uninstall & reinstall

 

VirtualBox uninstall & reinstall

uninstall ~ sudo apt-get remove --purge virtualbox ~ sudo rm ~/"VirtualBox VMs" -Rf ~ sudo rm ~/.config/VirtualBox/ -Rf reinstall ~ sudo apt-get install virtualbox ~ sudo ps aux | grep -i "vbox" ~ s..

cona-dev.tistory.com

 

 

 

참고


https://www.joinc.co.kr/w/Site/Development/Forum/manager/Command_Line_Power

 

Command Line으로 VirtualBox 사용하기

가상 디스크와 가상 CD/DVD드라이브를 추가하기 위해 Stroage Controller를 생성한다

www.joinc.co.kr

 

https://www.linuxbuzz.com/install-vmware-workstation-ubuntu-linuxmint/

 

How to Install VMware Workstation on Ubuntu / Linux Mint Desktop

How to Install VMware Workstation on Ubuntu / Linux Mint Desktop by Pradeep Antil · Updated May 19, 2019If you are looking to run multiple virtual machines on your Linux desktop (Ubuntu & Linux Mint), then better checkout the VMware workstation. It is the

www.linuxbuzz.com

 

https://printf.kr/entry/Virtualbox-%EB%84%A4%ED%8A%B8%EC%9B%8C%ED%81%AC-%EC%A2%85%EB%A5%98%EC%99%80-%EC%84%A4%EC%A0%95-%EB%B0%A9%EB%B2%95

 

Virtualbox 네트워크 종류와 설정 방법

Virtualbox 에서는 가상머신(이하 VM)에 할당할 수 있는 네트워크 종류를 총 6가지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각 네트워크 종류가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살펴보고, 어떻게 설정을 할 수 있는지 알아보도�

printf.kr

 

+) CentOS 설치를 CLI로만 하기에는 벅차서 VirtualBox 설치

오라클 설치실패 에러 참고

 

https://hongku.tistory.com/64

 

MAC북에서 Virtual Box 설치 실패하는 경우

MAC북에서 Virtual Box 설치 실패하는 경우 해결방법 MAC을 사용하고 있는데 Virtual Box 설치에 실패 했다고 뜬다... 왜 그런가 했는데, 이번에 MAC High Sierra버전 부터 생긴 보안문제 때문이었다. 이것도 �

hongku.tistory.com

 

+ Recent posts